실습/python
print() 함수 사용법 및 문자열 표현법
gldmg
2017. 6. 11. 14:05
python 2.X
print '출력문'
꼴로 작성된다.
python 3.X
print('출력문')
꼴로 작성한다.
python 3.6.1을 사용하기 때문에 이를 기준으로 설명한다.
먼저 3.X 버전이므로 기본적으로 print() 의 괄호 안에 출력문을 넣는다.
그 안에 변수든, 문자열이든, 리스트든 뭐든 들어갈 수 있다.
그 중 문자열에 대해 정리해 보았다.
print('문자열')
>> 문자열
print('문' + '자' + '열')
>> 문자열
print('문', '자', '열')
>> 문 자 열
print('%s' % '문자열')
>> 문자열
print('%s%s%s' % ('문', '자', '열'))
>> 문자열
print('%(a)s%(b)s%(c)s' % {'b':'자', 'c':'열', 'a':'문'})
>> 문자열
print('{}'.format('문자열'))
>> 문자열
print('{}{}{}'.format('문','자','열'))
>> 문자열
c언어 덕에 %가 익숙한데, 이 방법은 옛날 방법이고
{} .format 을 쓰는 방법이 최근의 방법이라고 한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