python 2.X


print '출력문'

꼴로 작성된다.



python 3.X


print('출력문')

꼴로 작성한다.



python 3.6.1을 사용하기 때문에 이를 기준으로 설명한다.


먼저 3.X 버전이므로 기본적으로 print() 의 괄호 안에 출력문을 넣는다.


그 안에 변수든, 문자열이든, 리스트든 뭐든 들어갈 수 있다.


그 중 문자열에 대해 정리해 보았다.



print('문자열')

>> 문자열


print('문' + '자' + '열')

>> 문자열


print('문', '자', '열')

>> 문 자 열


print('%s' % '문자열')

>> 문자열


print('%s%s%s' % ('문', '자', '열'))

>> 문자열


print('%(a)s%(b)s%(c)s' % {'b':'자', 'c':'열', 'a':'문'})

>> 문자열


print('{}'.format('문자열'))

>> 문자열


print('{}{}{}'.format('문','자','열'))

>> 문자열



c언어 덕에 %가 익숙한데, 이 방법은 옛날 방법이고

{} .format 을 쓰는 방법이 최근의 방법이라고 한다.


+ Recent posts